CSCW 분위기도 파악하고 관련 논문도 좀 읽어볼 겸 해서 ACM digital library를 뒤지다가 발견한 재밌어뵈는 논문. :)

Ames, M. G., Go, J., Kaye, J., & Spasojevic, M. (2010). Making Love in the Network Closet: The Benefits and Work of Family Videochat. Proceedings of ACM CSCW '10, 145-154.

Abstract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benefits of videochat for families and the corresponding work that home users engage in to make a video call run smoothly. We explore the varieties of social work required, including coordination work, presentation work, behavioral work, and scaffolding work, as well as the technical work necessary. We outline the benefits families enjoy for doing this work and discuss the ways in which families use videochat to reinforce their identity as a family and reinforce their family values, in effect making – as in creating – love. We conclude with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videochat and for designing with family values in mind more generally.

새로운 사실을 내놨거나 비교연구를 했거나 한 논문은 아니고, 
그냥 비디오챗이 서로 떨어져있는 가족들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각 멤버들이 기존의 비디오챗을 이용할 때 어떤 문제를 겪는지 관찰-
(예를 들면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프레임 안에 stay 하는 걸 자주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좀 더 발전된 인터페이스를 recommend 한 게 이 페이퍼의 요지. 
(가족들끼리의 화상통화인 경우, 그룹으로 채팅하는 경우가 많으니까, 
화면 분할을 수신자와 송신자 1:1로 가로로 배치한다든가 하는 것)

미국 처음 왔을 때 가족들이랑 가끔 MSN 메신저로 비디오 채팅을 하곤 했었는데. 
노트북에 웹캠 달아서 온 집안을 돌아다니면서 집은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드리기도 하고. 
최근엔 조카 얼굴 보려고 비디오챗 한 게 마지막이네. :-) 

암튼, CSCW 리서치는 주로 workplace 위주인데, family value랑 관련된 페이퍼가 있어서 재밌게 봤다. 


Posted by CoolEngineer
:

싸구려 논문

공부하다 2010. 7. 14. 03:39 |



싸구려 논문을 읽는다
몇시간째 적잖이 눈이 쓰려온다
눅눅한 연구실책상에 팔뚝이
쩍 달라 붙었다 떨어진다
이제는 아무렇지 않어
랩선배 한마리쯤 슥 지나가도
무거운 메일 박스엔
시간마다 교수님 메일이 멈출 생각을 않는다
가슴이 답답해 온다
삐걱대는 문을 열고 밖에 나가본다
아직 환한 교수님방이 너무 가까워 숨쉬기가
쉽지를 않다 수만번 본 것만 같다
어지러워 쓰러질 정도로 익숙하기만 하다
남은 사람 없이 텅빈 랩을 잠근다
싸구려 논문을 읽는다
몇시간째 적잖이 눈이 쓰려온다
눅눅한 연구실책상에 팔뚝이
쩍 하고 달라 붙었다가 떨어진다

뭐 몇 년간 세숫대야에
고여있는 물 마냥 그냥 완전히 썩어가지고
이거는 뭐 감각이 없어
랩세미나땐 구석 자리에 쭈그리고 앉아서
멍하니 그냥 가만히 보다보면은
이거는 뭔가 아니다 싶어
백날 써봐야 희끄므레죽죽한 저게
논문이라고 책상위를 뒤덮고 있는건지
저거는 뭔가 논문이라고 하기에는 뭔가 
너무 얇게 졸업은 어림도 없게
조금만 늦어도 누군가가
똑 같은걸 쓸 것 같은데 
달력에 미팅날은 벌써 꽉차 있으나마나
한달만에 돌려받은 피칠갑된 
논문을 보고 어우 약간 놀라
제 멋대로 남이써놓은 논문 갖다 
실험을 해보다 보면은
나았던 치질이 도지도록해봐도
당췌 데이터는 빠져 나올줄을 몰라
언제 보낸지도 모르는 못살겠다 친구한테보낸
메일을 다시열어보니 아뿔사 교수님 참조가
이제는 메일이 난지 내가 메일인지도 몰라
졸업 하기도 전에 찍히는 이런 상황은 뭔가

싸구려 논문을 읽는다
몇시간째 적잖이 눈이 쓰려온다
눅눅한 연구실책상에 팔뚝이
쩍 달라 붙었다 떨어진다
이제는 아무렇지 않어
랩선배 한마리쯤 슥 지나가도
무거운 메일 박스엔
한시간마다 교수님 메일이 멈출 생각을 않는다
가슴이 답답해 온다
삐걱대는 문을 열고 밖에 나가본다
아직 환한 교수님방이 너무 가까워 숨쉬기가
쉽지를 않다 수만번 본 것만 같다 
어지러워 쓰러질 정도로 익숙하기만 하다
남은 사람 없이 텅빈 랩을 잠근다
싸구려 논문을 찢는다
후련하니 적잖이 속이 편해온다
눅눅한 연구실책상에 팔뚝이
쩍하고 달라 붙었다가 떨어진다



트위터에 도는 링크를 클릭했다가 어찌나 웃었는지.
그나마 나는 미국에 있어서 좀 다르지만-
그래도 공감 백만표! 만국의 원생들이여, 힘내라~



Posted by CoolEngineer
:

Fiore, S. M., Smith-Jentsch, K. A., Salas, E., Warner, N., & Letsky, M. (2010). Towards an understanding of macrocognition in teams: developing and defining complex collaborative processes and products.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11(4), 250-271. 


Abstract


One of the significant challenges for the burgeoning field of macrocognition is the development of more sophisticated models that are able to adequately explain and predict complex cognitive processes. This is even more critical when specifying research questions involving cognition unfolding across interacting individuals, that is, macrocognition in teams. In this article, we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model of macrocognition focusing on collaborating problem-solving teams with a measurement framework for studying macrocognitive processes in this context.


We first discuss an important set of key assumptions from team measurement theory that form a critical foundation for this model. We then describe the core definitions we suggest are foundational to the conceptualization of macrocognition in teams. We conclude with a description of the key dimensions and subcomponents of our model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a principled approach to measuring and understanding macrocognition in teams. 



확실히 이 저널은 theoretical issues, 를 다루다 보니 원론적인 논문들이 주를 이룬다.

이건 매크로코그니션, 의 컨셉 자체를 정리해주는 페이퍼구나. 

2004년에 나온 Team Cognition 책의 에디터들, 닥터 피오레와 살라스 두 분이 다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교수님이 이 저널은 HF에 비해 세컨 티어고, 아무래도 내 리뷰는 이론적인 이야기가 될 것 같으니

리뷰 논문은 여길 고려해보는 게 좋을 것 같다 그러셨는데, 

세컨 티어라는 저널에도 큰 이름들 뿐이라, 아무래도 위축되는 기분은 어쩔 수가 없군. 


오늘은 transcription 할 게 많은 관계로, 대강 훑어보고 킨들에 넣어둬야겠다. 

내일 운전하면서 text-to-speech로 들어야지. :-)



Posted by CoolEngineer
:
McComb의 mental model convergence process framework- 
맥콤에 따르면 멘탈모델 컨버젼스는 orientation, differentiation, & integration의 세 단계로 나뉜다. 
오리엔테이션은 팀 및 태스크에 관련된 정보를 모으는 단계,
디퍼런시에이션은 그 정보를 갖고 기존의 멘탈 모델과 비교, negotiate하는 단계,
인티그레이션은 협상이 끝난 정보가 각 멤버의 뷰포인트로 흡수되는 단계. 

So it seems that all the meat and juice is in the differentiation stage (although the authors don't seem to emphasize it). 

If I consider an engineering design team situation (since I deal with them all the time), team and task related information is mostly equally available to all of the team members anyway. However, the existing mental models have been shaped differently based on each person's past education and experience. So, what's important would be how everyone deals with the 'negotiation processes.' What I tried to do wi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profile, uncertainty avoidance scale, and Thomas-Killman was tapping into those "existing" differences and or similarities to find out whether or not a discipline was acting as a cognitive lens, per se. 

If all of the members have the same type of existing cognitive lenses, the way they process incoming information in the differentiation stage will be similar. However, if all of the members have different cognitive lenses, the negotiation process will greatly differ among the team members, and it could be assumed that it will require more mental resources members in certain disciplines. If we can help people to go through the differentiation process with less confusion, and incorporate a way to allow people with more correct mental models to help others reach the same state, design a tool that allows everyone to share the concepts and images that each holds with others, it would reduce the cognitive toll that occurs i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greatly. 

어쨌거나, 내 논문에 들어가야 할 것은 멘탈모델 컨버젼스의 differentiation 과정에 변화를 주기 위한 게 
내 실험에 들어가는 environmental (spatial & strategic) support다, 라는 얘기를 좀 추가해야 한다는 것. 

팀멘탈모델 컨버젼스 과정을 팀 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해서 설명하는 프레임웍을 제시- 케네디 & 맥콤 2010의 요지. 
기존의 TMM 측정은 content agreement 와 knowledge structure의 오버랩 정도를 비교해 왔는데, 
과정 중 측정이 아니라 사후 측정이었기 때문에 제대로 convergence process에 근접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거든. 

(출처는 물론 Kennedy, D. M., & McComb, S. A. (2010). Merging internal and external processes: examining the mental 
model convergence process through team communication.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11(4), 340-358.)

이 프레임웍에서 맘에 안드는 점은 verbal communication에만 컨버젼스 과정을 국한시키고 있다는 것. 
총체적으로 봐야지, 모달리티 하나에만 한정돼서야 딱 그 만큼의 그림밖에 못 보는 거잖아.
버벌 뿐만 아니라 non-verbal communication, 특히 visualization effort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 
그래서 내가 tool 사용 행태, 빈도 및 거기서 나온 artifact들을 분석하려는 거고. 

어쨌든간에, 읽을만한 논문이었음. 
촘스키를 언급한 파트는 그럴듯하게 글만 늘려 쓰려는 것 같아 지겨웠지만.



Posted by CoolEngineer
:
Kennedy, D. M. & McComb, S. A. (2010) Merging internal and external processes: examining the mental model convergence process through team communication.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11(4). 340-358. 

Abstract
Mental model convergence is a macrocognitive process critical to team development. Yet,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convergence process occurs in a team domain. To date, researchers have examined convergence at specific points in time after performance episodes. While this approach has moved the field forward, research is needed that captures the dynamics of the convergence process as it occurs during collaborative activities. 

To facilitate this needed research, we present a framework for examining mental model convergence via communicated mental model content. Our framework is theoretically based on research in cognitive scienc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more recent team mental model research. By explicit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connection between mental model convergence and team communication, we extend the extant research that links communication and team cognition and address a gap in the team mental model literature regarding how to examine the mental model convergence process over time. 

팀 멘탈모델 자체보다는 그 형성 과정에 더 중점을 뒀다 이거지-? 
근데 난 왜 지금까지 멘탈모델 컨버젼스 프로세스 관련해선 읽은 게 없는거냐...쿨럭. 
일단 리뷰 잘 돼있는 것 같으니까, 이걸로 한 번 훑어보고 정리 좀 해야겠다. 


Posted by CoolEngineer
:

의지하다

공부하다 2010. 6. 26. 03:36 |
요즘, 마음을 다잡지 못하고 의미없이 시간을 흘려보내는 일이 잦다. 
이건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연구하는 리서쳐로서 절대 피해야 할 독같은 습관이다. 

대학원생 기숙사에 살 때는, 편한 옷차림에 슬리퍼를 끌고서 1층 리딩룸에 내려와
풀리지 않는 문제를 붙잡고, 마냥 술술 풀려나오지만은 않는 페이퍼를 붙잡고
몇 시가 됐건 스스로와 씨름하는 게 일상이었다. 

그리 오래되지 않은 그 '과거'의 습관에 기대어 보려고, 
세미나를 벗어나 GLC 리딩룸엘 왔다.

물리도록 들었던 Michel Petrucciani의 September Second를 아이튠즈에 걸고,
은색 키보드를 두드리는 손가락 끝의 경쾌한 감촉을 느끼자. 

 

Posted by CoolEngineer
:

첫 번째 리뷰한 것, 드디어 웹에 올라갔다 :-) 
오역 수정 및 뉘앙스 등등 꽤나 내 손이 많이 간 거라
번역아닌 리뷰였지만 꽤 뿌듯하다.

이 아저씨 말투도 그렇고 해서 말투를 약간 캐주얼하게 잡았는데,
확실히 한국어는 경어체가 있어서 영어랑 느낌이 많이 다르다는 걸 느꼈음. 



Posted by CoolEngineer
:
"Last, but by no means least, I thank my wife Suzanne Thomas and my daughter Ruby. I am grateful to Suzanne for her infinite patience, confidence (or effective simulation thereof), encouragement and the sterling example she set (completing her own dissertation just two months before giving birth)—and to Ruby, for being the first person to call me “Dr. Papa” (at which point it was pretty much all worthwhile)."

그냥, 다른 사람들 학위 논문을 보면, acknowledgement를 챙겨 읽는 편인데-
가족들에 대한 헌사를 볼 때마다 괜히 눈물이 핑 돈다.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인데도.

그나저나 Dr. Papa라니, 너무 귀엽잖아. >_< 

작년에 버클리에서 만난 닥터 쇼는 참 선한 인상이었고,
actor-discourse analysis에 대해서 열심히 설명해 주셨었다. 
일단 논문 다 읽고 메일 보낼 생각. 

Posted by CoolEngineer
:

Jeff Hawkins on TED

공부하다 2010. 5. 4. 15:37 |
재미삼아 틈틈이 해 볼까 싶어서 TED translator로 등록했다. 
그런데 번역할 만한 영상을 찾는 게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 
나한테 재밌어서 찾아보면 거의 translation in progress- 상태.
일단 누군가 번역해놓은 걸 리뷰하는 걸로 시작할까 생각하고
Ready for review 상태인 톡들을 하나씩 뒤져보던 중, 
요즘 읽고있는 On Intelligence의 저자인 Jeff Hawkins의 강의를 발견 :-)


일단 리뷰 신청을 넣어뒀다 :-) 
다음 번엔 20분짜리 Paul MacCready 아저씨의 
Solar wings에 관한 톡을 시도해볼까 생각중임.

Posted by CoolEngineer
:

내가 하고있는 NSF펀딩의 이 프로젝트는, 이번 여름 동안에 학교에서 하는 데이터 컬렉션이 없다. 
게다가 피츠버그에 있는 회사랑 프로젝트의 한 phase를 같이 하게 돼서,
요즘 내가 하는 일이라는 건 거의 회사 사람들한테 보내줄 기획서 등등의 document를 쓰고,
올 가을학기부터 시작할 케이스 스터디 준비를 하는 것. 

그러다보니 굳이 연구실에 나가야 할 것도 없어서,
요샌 교수님이랑 미팅 있는 날이 아니면 오피스에 가지도 않는다. 

어제 지도 교수님과의 미팅에서 컨셉트 잡는데 꽤나 진전이 있었는데,
그걸 좀 정리해볼 생각으로 토요일인 오늘은 오랜만에 도서관엘 갔었다.
 
학부생들이 돌아가고 난 Virginia Tech은 참 한산하고 고요하다.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참 시원하고 조용한 것이 일년 내내 이러면 얼마나 좋을까-싶었지. 
1층에 앉아서 자료를 읽고, 논문을 읽고, 타닥타닥 다큐먼트를 타이핑 하면서 참 평화로웠다. 

오래가지 않을 peace time 이기는 하지만, 
진심으로 여름을 즐기고 있는 요즘이다. 
Posted by CoolEngineer
: